(1) 소화불량

양방에서보는 소화불량은 염증, 궤양이나 종양과 같은 기질적 원인으로 인한 소화불량과, 검사상 특별한 이상이 없는 기능적 소화불량으로 나뉩니다.
위식도역류는 위와 식도괄약근의 운동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여 위내 위산과 음식물이 역류하는 질환으로, 가슴 쓰림과 더불어 소화불량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기능성 소화불량은 기질적인 원인 없이 나타나는 소화불량이며, 최근 6개월 중 총 3개월 이상의 소화불량 증상과 함께 식후 더부룩함, 조기 포만감, 상복통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질환입니다. 만성적인 소화불량 환자의 60%가 기능성 소화불량이 원인입니다.

acupuncture may help with weight loss.

한방에서의 소화불량
대부분의 소화기 질환에서 소화불량에 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기능성 소화불량은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 중 하나로 묘사되고 있으며, 식도염에 의한 소화불량은 탄산(신물이 올라오는 증상)이라는 질병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소화불량은 동반되는 증상, 기질적 원인 등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흔히 말하는 ‘체기’는 [식상(음식으로 다치다)]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치료 방법으로 직접 소화시키는 방법과 소화기능의 저하(허증)를 보익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傷食因多飧. 飮食不能運化, 停於胸腹, 飽悶惡食不食, 噯氣作酸, 下泄臭屁, 或腹痛吐瀉. 重則發熱頭痛, 左手關脈平和, 右手關脈緊盛, 此傷食也.

: 식상(食傷)은 많이 먹어서 생긴다. 음식을 제대로 소화시키지 못하고 가슴과 배에 머물러 배부르고 답답하며, 음식을 싫어하여 먹지 않고, 트림을 할 때 신물이 나오고 냄새나는 방귀를 끼거나, 혹 배가 아프고 토하며 설사한다. 중할 때는 발열과 두통이 있다. 좌관맥이 화평하고 우관맥이 긴성(緊盛)한 것이 식상증이다. 《동의보감》

소화불량은 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회복을 더디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만큼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합니다.

또한 소화불량은 삶의 가장 큰 영역인 ‘식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좋은 사람과 맛있는 음식을 먹는 소소한 행복을 느낄 수 없는 분들에게, 먹는게 더이상 스트레스가 되지 않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음식물이 소화 흡수가 되지 않아 기운이 없는 분들에게, 활력 넘치는 일상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2) 역류성 식도염

양방에서보는 위식도 역류질환(GERD)는 위산이 역류하여 식도와 식도 이외에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대부분 식도염을 동반하기 때문에, 흔히 역류성 식도염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위액이 과도하게 역류하여 식도를 자극하여 염증이 발생한 질환입니다.
역류성식도염의 원인과 증상
역류성식도염은 주로 위식도 접합부의 기능저하에 의해 발생하는데, 그 기전으로 크게 세 가지가 알려져 있습니다. 일시적인 하부 식도 조임근의 이완, 하부 식도 조임근의 압력 저하, 열공 헤르니아(위가 흉강으로 빠져나간 것)에 의한 해부학적 비틀림 입니다. 그 외에 복부 비만, 임신, 위산 과다 분비 상태, 위 배출 지연, 식도 연동운동 장애, 폭식 등이 역류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속쓰림과 역류가 가장 주된 증상입니다. 빈도가 낮은 증상으로 연하곤란(목 삼킴이 어려운 증상)과 흉통이 있습니다. 흔히 가슴이 쓰라리다고 표현하며 영어로는 Heart burn이라 하여 타는 듯한 느낌을 호소하게 됩니다. 흉통의 경우 심장질환과 반드시 감별을 해야 하며, 연하곤란의 경우 소화성 협착이나 선암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감별하여 진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도 증상 외에 만성적인 기침이 가장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만성 기침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가 위식도 역류질환입니다. 그 외에 후두염, 천식, 치아 미란, 부비동염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한방에서의 역류성식도염
또한 역류성식도염은 ‘탄산’이라는 병명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다양한 원인(숙식, 습열, 담음 등)과 그에 따른 치료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呑酸者, 水刺心也. 吐酸者, 吐出酸水也. 《回春》
: 탄산이란 신물이 명치를 찌르는 것이다. 토산이란 신물을 토해내는 것이다. 《회춘》
呑酸吐酸, 宜茱連丸, 蒼連丸, 蒼連湯, 黃連淸化丸, 增味二陳湯, 平肝順氣保中丸, 又一方.
: 탄산(呑酸)이나 신물을 토할 때는 수련환, 창련환, 창련탕, 황련청화환 ,증미이진탕 , 평간순기보중환이나 또 다른 처방[又一方]을 써야 한다. 《동의보감》

(3) 위염

양방에서의 위염이란 위 점막 염증이 발생한 질환을 말합니다.
위염은 크게 급성 위염과 만성 위염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위염의 원인과 증상
급성 위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감염입니다. 특히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럽게 시작되는 상복부 통증, 구역감이 나타납니다. 만성 위염의 초기 단계는 표재성 위염으로, 점막 표면에 국한되어 염증이 발생한 단계입니다. 더 악화되면 위축성 위염이 되며, 위벽의 깊은 층까지 왜곡되고 파괴됩니다. 마지막 단계는 위의 위축입니다. 염증은 거의 보이지 않지만 점막이 매우 얇아져 있습니다. 만성 감염은 계속적으로 상처를 남기고 조직 재생하는 과정 중 변성이 오기 쉽습니다. 만성위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헬리코박터균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50대의 25%가 만성 위염을 앓고 있으므로 아주 흔하게 접하는 질환입니다.

소화불량과 복통이 가장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복통은 가벼운 복부 불쾌감에서 극심한 복통까지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 구토, 두통, 발열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한방에서의 위염
‘위염’이라는 표현은 없으나, 위에 질병이 있을 때의 증상에 관하여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창만감(그득함), 상복부 통증을 기본으로 하여 연하곤란, 구역감, 가슴쓰림 등의 증상별로 세분화하여 그에 맞는 처방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胃病者, 腹䐜脹, 胃脘當心而痛, 上支兩脇, 膈噎不通, 飮食不下.

: 위병(胃病)이 들면 배가 불러 오르고 위완에서 심장에 해당하는 부위까지 아프며, 양 옆구리가 위로 결리고 흉격이 막히며, 목이 메여 음식이 내려가지 않는다. 《동의보감》
위염의 한약치료에 대한 현대연구
급만성 위염에 한약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연구는 일본과 중국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약재별 단일 실험 연구, 동물 실험, 실제 임상 연구까지 다양하게 연구되었으며 위염 치료에 한약이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4) 과민성 대장 증후군

과민성 장증후군은 구조적 이상 없이 복통, 복부 불쾌감, 배변 습관의 변화를 호소하는 기능성 장질환입니다. 또한환자들의 장은 예민해져 있어서 작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최근에는 스트레스와 뇌-장관 축의 영향이 클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복통, 복부 불쾌감이 가장 주요 증상입니다. 배변시 증상이 호전되며, 설사와 변비가 교대로 나타나지만 두 가지 중 한 가지 증상이 더 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에 가스 및 방귀, 트림, 소화불량, 구역 등의 증상을 호소합니다.

과민성 장증후군의 증상은 다른 질환에서도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는 질병과의 감별진단해야 합니다. 염증성 대장질환, 소화성 궤양, 담도질환 등 여러 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적절한 검사를 받도록 안내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방에서의 과민성 장증후군
과민성 장증후군은 ‘증후군’이기 때문에 여러 증상이 조합되어 있습니다. 이는 한의학의 기술 방식과 매우 유사합니다. 과민성 장증후군의 가장 주요 증상인 복통을 동의보감에서 보면, 설사가 동반될 때와 변비가 동반될 때를 구분하여 치료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동반되는 증상 패턴에 따라 더욱 세분화 하여 한복통, 열복통, 어혈복통, 식적복통, 담음복통, 충복통 등으로 나누어 치료법을 기술하였습니다.
凡腹痛大便利, 或用手重按之不痛者, 爲虛爲寒, 宜加味少建中湯方見胸部, 加桂ㆍ理中湯方見寒門之類. 其或大便堅, 或用手按之痛甚, 手不可近者, 爲實爲熱, 宜大柴胡湯ㆍ調胃承氣湯幷見寒門之類. 《入門》

: 배가 아프면서 설사를 하거나 손으로 깊게 눌러서 아프지 않은 것은 허증이나 한증이다. 가미소건중탕에 계지를 넣거나, 이중탕같은 것을 쓴다. 대변이 단단하거나, 손으로 눌렀을 때 통증이 심해져서 손을 댈 수 없는 것은 실증이나 열증이다. 대시호탕ㆍ조위승기탕을 쓴다. 《입문》

1.단 한분을 위한 1인 치료실이 늘 준비되어 있습니다.

환자분들의 프라이버시와 치료에 더 집중하기 위해서 본 한의원은 기본적으로 11실로 운영됩니다. 또한 환자분이 치료받으실 공간의 컨디션을 최적으로 준비하기 위해서이기도 합니다. 일회용 커버와 환자복은 물론, 단 한 분을 위해 준비된 1인 치료실에서 가장 편안한 상태로 치료받으실 수 있도록 늘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인체스스로의 면역력을 회복하도록 도와드립니다.

가장 좋은 치료는 약물이나 기타 의료행위의 도움 없이 환자분의 자체 회복력으로 치료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치료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본 한의원은 환자분에게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을 최소한으로 하여 치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3.한약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처방합니다.

가루약으로 되어있어 단기간의 복용만으로 효과를 볼 수 있는 과립제한약, 증상과 환자의 체질에 맞게 보다 세심하게 지어지는 체질맞춤탕약, 그리고 증상이 나타날때마다 편하게 드실 수 있는 환제까지 한의원에서 처방할 수 있는 한약의 종류는 매우 다양합니다. 본 한의원은 내과적인 조절을 위해 약물이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적절한 제재의 한약을 처방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방향을 추구합니다.

4. 나에게 가장 잘 맞는 치료방법을 선택합니다.

가장 비침습적이면서도 물리적자극을 가하여 근육과 근막을 치료하는 부항요법따끔하지만 아주 뛰어난 치료효과를 갖는 침치료, 직접적으로 환부나 복부에 열치료를 하는 뜸요법 등을 선택하여 나의 증상과 건강상태에 가장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