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방에서보는 위식도 역류질환(GERD)는 위산이 역류하여 식도와 식도 이외에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대부분 식도염을 동반하기 때문에, 흔히 역류성 식도염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위액이 과도하게 역류하여 식도를 자극하여 염증이 발생한 질환입니다.
역류성식도염의 원인과 증상
역류성식도염은 주로 위식도 접합부의 기능저하에 의해 발생하는데, 그 기전으로 크게 세 가지가 알려져 있습니다. 일시적인 하부 식도 조임근의 이완, 하부 식도 조임근의 압력 저하, 열공 헤르니아(위가 흉강으로 빠져나간 것)에 의한 해부학적 비틀림 입니다. 그 외에 복부 비만, 임신, 위산 과다 분비 상태, 위 배출 지연, 식도 연동운동 장애, 폭식 등이 역류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속쓰림과 역류가 가장 주된 증상입니다. 빈도가 낮은 증상으로 연하곤란(목 삼킴이 어려운 증상)과 흉통이 있습니다. 흔히 가슴이 쓰라리다고 표현하며 영어로는 Heart burn이라 하여 타는 듯한 느낌을 호소하게 됩니다. 흉통의 경우 심장질환과 반드시 감별을 해야 하며, 연하곤란의 경우 소화성 협착이나 선암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감별하여 진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도 증상 외에 만성적인 기침이 가장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만성 기침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가 위식도 역류질환입니다. 그 외에 후두염, 천식, 치아 미란, 부비동염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한방에서의 역류성식도염
또한 역류성식도염은 ‘탄산’이라는 병명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다양한 원인(숙식, 습열, 담음 등)과 그에 따른 치료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呑酸者, 水刺心也. 吐酸者, 吐出酸水也. 《回春》
: 탄산이란 신물이 명치를 찌르는 것이다. 토산이란 신물을 토해내는 것이다. 《회춘》
呑酸吐酸, 宜茱連丸, 蒼連丸, 蒼連湯, 黃連淸化丸, 增味二陳湯, 平肝順氣保中丸, 又一方.
: 탄산(呑酸)이나 신물을 토할 때는 수련환, 창련환, 창련탕, 황련청화환 ,증미이진탕 , 평간순기보중환이나 또 다른 처방[又一方]을 써야 한다. 《동의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