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디스크는 경추의 추간판 탈출증을 말합니다.
목뼈(경추) 사이의 추간판(디스크)가 탈출하여 경추신경을 압박, 자극하여 나타나는 통증과 신경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목디스크의 원인과 증상
추간판탈출증의 원인은 교통사고나 격렬한 운동으로 인한 외상으로 인해서 발병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장시간의 고정 자세에서 발생하는 척추체의 과부하가 디스크에 압박을 가해지면서 발생합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오랜 의자 생활로 인한 발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장 주된 증상은, 디스크에 의해 자극된 신경레벨에 따른 방사통(radiating pain)입니다. 통증 이외에 운동신경의 자극으로 인해 힘이 들어가지 않는 운동성 저하, 근육 약화가 일어나기도 하며 심한 경우 마비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목디스크의 치료
경추 디스크 탈출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빠르게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를 감별하는 것입니다. 경추 추간판 탈출증 수술을 바로 해야하는 적응증으로는 대소변 장애를 일으키는 마미증후군(cauda equina)이 있을 때, 근육에 힘이 들어가지 않고 마비증상이 빠르게 진행되는 경우입니다. 그 외에 6주간 보존적 치료(비수술 치료)에 호전되지 않는 경우, 통증이 너무 심하여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수술로 치료해야 합니다.
반면 증상이 없는 정상적인 사람의 40%는 MRI 검사에서 디스크 탈출증을 보입니다. 따라서 위의 수술적응증이 아니라면, 꼭 수술을 하지 않아도 신경을 자극하는 염증을 해결함으로써 얼마든지 치료될 수 있습니다.